Recent Posts
Recent Comments
Qaether 연구일지
FCC 구조에서 사슬군과 경계사상 예제 본문
사슬군과 경계사상 \(\partial_k\)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FCC 격자의 국소 단위체인 정팔면체(octahedron)를 예로 들어보자.
1. 정팔면체의 셀 구조
정팔면체는 다음으로 구성됩니다:
- 꼭짓점(0–셀): 6개
\[
V=\{\pm x,\pm y,\pm z\}
\] - 엣지(1–셀): 12개
각 축 방향 쌍 사이를 잇는 선분들.
예: \((+x,+y), (+x,-y), (+x,+z), (+x,-z), \dots\) - 면(2–셀): 8개 삼각형
예: \(T_{+x,+y,+z}\)는 꼭짓점 \(+x,+y,+z\)로 이루어진 삼각면. - 체적(3–셀): 1개 (전체 정팔면체)
즉,
\[
C_0 = \mathbb Z^6,\quad
C_1 = \mathbb Z^{12},\quad
C_2 = \mathbb Z^{8},\quad
C_3 = \mathbb Z.
\]
2. 사슬군과 경계사상 흐름
계층은 다음처럼 연결됩니다:
\[
C_3
\xrightarrow{\partial_3}
C_2
\xrightarrow{\partial_2}
C_1
\xrightarrow{\partial_1}
C_0
\]
- \(\partial_3\): 체적의 경계 → 8개의 삼각면 합
- \(\partial_2\): 삼각면의 경계 → 3개의 엣지 합
- \(\partial_1\): 엣지의 경계 → 2개의 꼭짓점 차
- \(\partial_0=0\)
3. 실제 예시
하나씩 보자.
- 3–사슬의 경계: \(\partial_3\)
- 정팔면체 전체를 3–셀 (O)라 하면 \[ \partial_3(O) = T_{+x,+y,+z}+T_{+x,+z,-y}+T_{+x,-y,-z}+T_{+x,-z,+y}+T_{-x,+y,+z}+T_{-x,+z,-y}+T_{-x,-y,-z}+T_{-x,-z,+y} \]
- 부호는 면의 법선 방향이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나가는지 들어가는지로 정함.
- 즉, \(\partial_3 O\)는 “겉껍질 8개의 삼각면”을 의미.
- 2–사슬의 경계: \(\partial_2\)
- 예를 들어, 위 삼각면 \(T_{+x,+y,+z}\)의 경계는
- 세 엣지로 이루어진 둘레: \[ \partial_2 T_{+x,+y,+z} = e_{(+x,+y)} + e_{(+y,+z)} + e_{(+z,+x)} \]
- 즉, 면의 테두리가 세 엣지로 표현됩니다. (방향이 면의 순환방향과 반대면 부호가 바뀜.)
- 1–사슬의 경계: \(\partial_1\)
- 엣지 \(e_{(+x,+y)}\)는 꼭짓점 \(+x\)에서 \(+y\)로 향하는 방향이라면, \[ \partial_1 e_{(+x,+y)} = (+y) - (+x) \]
- 연쇄 조건
- 경계의 경계는 항상 0: \[ \partial_2(\partial_3 O) = 0, \quad \partial_1(\partial_2 T_{+x,+y,+z}) = 0 \]
- 이는 “겉면의 둘레는 서로 붙어 상쇄된다”는 기하적 사실을 대수적으로 표현한 것.
- 즉, \[ \boxed{\partial_1\circ\partial_2 = 0,\qquad \partial_2\circ\partial_3 = 0.} \]
4. 요약: 정팔면체의 사슬 계층
차수 \(k\) | 사슬군 \(C_k\) | 기본 생성 경계 | \(\partial_k\)의 의미 |
3 | \(\mathbb Z\) | 전체 부피 (정팔면체 (O)) | 표면 8개 삼각면 |
2 | \(\mathbb Z^8\) | 삼각면 \(T_i\) | 둘레 3개 엣지 |
1 | \(\mathbb Z^{12}\) | 엣지 \(e_j\) | 끝점 두 정점의 차 |
0 | \(\mathbb Z^{6}\) | 정점 \(v_k\) | 경계 없음 |
직관적으로 보면
- \(C_3\): 실체(부피)
- \(C_2\): 껍질(면들)
- \(C_1\): 껍질의 뼈대(엣지들)
- \(C_0\): 꼭짓점들
\(\partial_3\)는 껍질을 만들고,
\(\partial_2\)는 그 껍질의 테두리를 만들고,
\(\partial_1\)은 엣지의 끝점을 만든다.
결국 “경계의 경계는 없다” — 면을 한 바퀴 돌고 나면 시작점으로 돌아오기 때문.
이 구조를 FCC 격자의 octahedron 단위로 확장하면, 국소 체적(3–셀)의 경계는 8개의 삼각·사각 루프,
그 경계의 경계(엣지)는 0 — 즉 FCC의 사슬군도 동일한 위계 관계를 갖는다.
'Spin-off Ide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0.2] FCC 격자 루프 제약에 따른 링크 위상차의 양자화 증명 (0) | 2025.10.18 |
---|---|
[v1.0] 플라켓 위상 패턴의 D₄ 대칭 분석 (0) | 2025.10.12 |
[v0.1] From Octahedral Phase Combinations to the SU(3) Weight Lattice (0) | 2025.09.30 |
[v0.1] Lattice Phases: 2D Closure to 3D Flatness (1) | 2025.09.30 |
[v0.1] 플라켓 위상 패턴의 D₄ 대칭 분석 (0) | 2025.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