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hase (3)
The Qaether Log
* 본 Qaether 이론은 실험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가설임을 미리 밝힙니다. 현재 업데이트 하는 중이라 수시로 수정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A4. 유효 시간의 재정의 (링크-기반 기준, 루프-동등성 공리 포함)4.1 원리 (Emergence of Time)시간은 배경이 아니라 국소 활동량(activity) 으로부터 창발한다. 활동량이 클수록 해당 객체(셀·링크·루프)의 고유시간(proper time) 은 로렌츠형 지연$$\gamma^{-1}=\sqrt{1-\beta^2}$$을 따른다. 여기서 \(\beta\)는 “활동률”(무차원)이다. 4.2 링크와 루프 (게이지 불변 기하)링크 $$U_\mu(i)=\mathbf q_{i+\hat\mu}\mathbf q_i^{-1}\in SU(2)$$임의 루프(홀로노..

기존 가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부분이 있었다.\(\Delta \phi_{ij} \in \mathbb{Z}_6 \cdot \pi/3\) (Z₆ 위상 양자화) 그런데 결합구조를 연구하다보니 실제 결합 가능한 위상차는 \(\mathbb{Z}_6 ∪ \mathbb{Z}_4 =\{0, \pi/3, \pi/2, 2\pi/3, \pi, 4\pi/3, 3\pi/2, 5\pi/3\}\) 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수정이 불가피하다. 그리고 결합 방향에 따른 결합 행렬을 \(A_{ij} =A_{ji} \) 라고 암묵적으로 가정하고 있었는데 실제 결합 진행 과정에서 \(A_{ij} = -A_{ji} \) 여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어 수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추가적인 가정의 수정부분은 다음과 같다..
내가 이 이론을 처음 시작했을 때와 현재의 나는 어떤 점에서 변화했을까? 갑자기 나는 궁금해졌다. 처음 이론을 착수했을 때, 나는 단순히 세상이 가장 작은 공 모양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는 가설에 집중하고 있었다. 어떤 물질이 아니라 단순한 공간이 네트워크화 되어 있을 수 있다는 단순한 아이디어는 나에게 엄청난 흥미를 불러일으켰고, 나는 이로부터 혼자 엄청난 가능성을 느끼고 전율했다. 이론을 발전시키려는 열망에 사로잡혀 정성적으로 신나게 이리저리 이론을 펼쳐보았고, 그 과정에서 나름대로의 만족스러운 진전을 보기도 했지만, 때때로 이론이 벽에 부딪히기도 했다.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가진 물리학적 지식은 여전히 턱도 없이 부족했다. 아마도 그런 무지함이 지금과 같은 창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