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Qaether Log

[v1.3] 플라켓 결합형태 본문

Research Diary

[v1.3] 플라켓 결합형태

Qaether Theory 2025. 8. 2. 23:12

아래 그림은 Qaether 이론상 Qaether들이 큐브안에 어떤 위치에 존재하는지 나타낸 것이다. 

실제는 각 구들의 반지름이 더 커져서 서로 맞닿아 있는 형태라고 보면 된다.

여기서는 보기 편하게 구의 크기를 줄였다.

 

Qaether 이론에서 나오는 플라켓은 다음과 같은 형태의 결합이며 보통은 아래 두가지 형태의 변형이라고 보면 된다.

두개의 큐브 사이에 만들어진 플라켓 결합
큐브 하나에 존재하는 플라켓 결합

 

사실은 큐브를 아주 많이 배치하면 두개 모두 구분이 되지 않지만 하나의 큐브를 중심으로 봤을때 하나는 면 부분에서 플라켓을 이루고 하나는 중심부분에서 플라켓을 이루기 때문에 구분하여 봤다. 실제 보다시피 FCC 격자에서는 플라켓은 6개가 모여서 정육면체를 만들지는 못한다. 입체 폐합을 할때는 보통 정삼각형 결합(트라이앵글릿)과 함께 결합하여 다양한 입체 폐합을 이룬다. 다음이 그 예이다.

피라미드 결합

 

실제 트라이앵글릿은 플라켓 형태보다 비율적으로 더 많고 3갈래로 나누어져 결합규칙을 이루기 때문에 글루온과 관련되어 있다고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래와 같은 경우 사각형 3개로 정팔면체로 입체 폐합되기도 한다. 입체 폐합이 쿼크의 기본 형태일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기 때문에 Qaether 이론에서 트라이앵글릿 4개가 모여 만드는 정사면체 입체 폐합과 함께 정팔면체 폐합은 상당히 중요한 구조이다. 실제로 정사면체도, 정팔면체도 세변의 위상차만 알면 나머지 모든 변들의 값을 예측할 수 있다.

정사각형 3개 = 정팔면체

 

정삼각형 4개 = 정사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