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Qaether Log
[v1.3] Qaether 라그랑지안 본문
자율형(재매개 불변) 구성, 국소 게이지 구조, 변분 방정식, 연속극한 및 페르미온 포함 여부를 체계적으로 서술합니다. 본 문서는 FCC 위상 양자화와 공변 강성 아이디어를 일관되게 통합합니다.
0. 전제·기호
격자는 사이트(셀) i, 링크 \(\langle i,j\rangle\), 플라켓 \(\square\), 유한 루프 \(\ell\)로 구성되며, 격자 간격은 \(a\)입니다. 내부 회전자(물질 자유도)는 \(q_i\in SU(2)\)이고 링크 상대위상은 정의상 \(\Delta q_{ij}=q_j q_i^{-1}\)입니다. Hopf–\(S^1\) 각은 \(\phi_i\), 링크 위상은 \(\Delta\phi_{ij}=\phi_j-\phi_i\)입니다.
FCC의 삼각·사각 루프 제약에 의해 \(\Delta\phi_{ij}\in (\pi/6)\mathbb Z\)의 위상 양자화가 도출됩니다. 결합수 \(m_i\in\{0,\dots,12\}\)에 따른 관성/압력은
게이지 부문 표기: \(U(1)\) 플라켓 위상 \(\Phi_\square\), \(SU(3)\) 홀로노미 \(G_\square\). 재매개 불변성 유지를 위해 전역 라프스( einbein) \(E(\phi)>0\)를 도입하며, 게이지 고정을 하지 않습니다. 관측량 해석시에는 유효시간 \(\tau\)를 도입해 \(\tfrac{d}{d\tau}=\mathcal N(\text{fields})\,\tfrac{d}{d\phi}\)로 환산합니다.
1. SU(2) 국소 게이지 구조
국소 변환 \(g_i\in SU(2)\)에 대해
플라켓(윌슨 루프)은 고정된 순서의 링크 곱으로
\(\mathrm{Tr}(V_\square-\mathbb I_2)^2\) 대신 프로베니우스 노름을 사용하여 양의 정부호를 확보합니다:
물리적 “정렬 강성”은 국소 게이지 불변의 최소결합으로 대체됩니다(아래 §2-(2)).
2. 자율형(배경시간 없음) 전체 라그랑지안
작용은 \(S=\int d\phi\,\widetilde{\mathcal L}(\phi)\)이며, 자율형(재매개 불변) 형태를 유지합니다.
여기서 \(q_i'\equiv dq_i/d\phi\), \(\|q_i^{-1}q_i'\|\in\mathfrak{su}(2)\)의 노름입니다. \(E(\phi)\)는 전역 라프스로 재매개 불변성을 보장하며, 어떤 함수로도 고정하지 않습니다. 루프-잠금 \(\Lambda_\ell\)은 삼각·사각 등 짧은 루프에 주로 적용합니다.
정규화 선택의 이유
- 게이지 플라켓 항을 \(\|U-\mathbb I\|_F^2\)로 표기하면 양의 정부호가 보장되고, Wilson형과 상수차/스케일 차이만 납니다.
- 정렬항, U(1), 루프-잠금의 상수를 적절히 이동하여 모든 퍼텐셜 항의 최소를 0으로 맞춤 → §3의 해밀토니안 제약에서 \(V_{\rm tot}\ge 0\)을 보장합니다.
3. 대칭과 변분
3.1 대칭 (모두 자율형 유지)
재매개(위상) 대칭: \(\phi\to f(\phi),\; E\to E\,\tfrac{d\phi}{df}\) 하에서 작용은 불변입니다.
국소 SU(2) 게이지: \(q_i\to g_i q_i,\; V_{ij}\to g_i V_{ij} g_j^{-1}\) → (1)(2)(3)항 불변. 이는 과거의 비(非)게이지 정렬항을 국소 게이지 불변의 공변 강성 항으로 일반화한 것입니다.
U(1), SU(3): 플라켓 불변량만 등장하므로 표준 대칭이 유지됩니다.
3.2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a) 회전자 방정식 — \(q_i\) 변분
여기서 \(\Pi_{\mathfrak{su}(2)}(X)=\tfrac{X-X^\dagger}{2}-\tfrac{\mathbb I_2}{2}\,\mathrm{Tr}\big(\tfrac{X-X^\dagger}{2}\big)\)는 \(\mathfrak{su}(2)\)로의 사영입니다.
(b) 링크 방정식 — \(V_{ij}\) 변분 (YM + 물질 전류)
연속극한에서 \(D_\mu F^{\mu\nu}=J^\nu_{(q)}\)로 환원됩니다.
(c) 해밀토니안 제약 — \(E\) 변분
모든 항의 최소가 0이 되도록 정규화했으므로 좌변의 양수성과 일관됩니다.
4. “시간”이 필요한 해석: 유효시간 \(\tau\) 환산
작용은 \(\phi\)-재매개 불변을 유지합니다. 관측량(예: 각속도, 전파속도, 스펙트럼)을 읽을 때에만
를 적용해 단위를 고정합니다. 예를 들어
여기서 \(\mathcal N\)은 유효시간 정의로부터 결정됩니다. 이는 게이지 고정이 아니며 결과 해석 단계의 환산일 뿐입니다.
5. FCC 위상 양자화
짧은 삼각/사각 루프에 대해
따라서
루프‑잠금 \(\Lambda_\ell\) 항은 이를 동역학적으로 안정화하며, \(\Phi_\ell=2\pi n_\ell\)의 잠금이 짧은 루프에서 우세합니다.
6. 연속극한(IR)·정규화 메모
U(1), SU(3)도 표준적으로 \(E\int d^4x\,\tfrac{Z_{U(1)}}{4}F^2\), \(E\int d^4x\,\tfrac{Z_s}{4}G^2\)로 수렴합니다. 정규화 상수 \(Z_*\)는 \((a,\beta,g_2,g_s)\)의 조합으로, 논문에서 규약을 선택하여 고정합니다.
세 게이지 섹터 SU(2), U(1), SU(3)는 모두 동일한 전역 라프스 \(E(\phi)\)로 스케일되며, 연속극한에서 Wilson형 게이지 작용에 일관되게 수렴합니다.
7. 파라미터·부호·운용 체크
- \(I_0>0,\;p_0>0,\;0<\alpha\ll1\): 결합수 \(m_i\) 증가 시 관성·압력 감소(일관).
- \(\kappa>0\): 근접 정렬 선호. \(\Lambda_\ell>0\): 짧은 루프일수록 큼(예: \(\propto 1/L_\ell\)).
- 재매개 대칭 보존: \(E(\phi)\) 외생 고정 금지(위상시계 게이지 미사용).
- 선택 옵션: U(1), SU(3), SU(2) 각 \(\theta\)-항(\(F\tilde F\), \(G\tilde G\))을 부록에 옵션으로 표기(위상 섹터 분류용).
- 수치해석 편의: 루프‑잠금은 Villain 형식으로 치환 가능.
(옵션) 페르미온 라그랑지안이 필요한가?
현재 라그랑지안은 보손적 자유도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본 페르미온(예: 전자, 쿼크 유사)을 기술하려면 별도의 격자 페르미온을 도입해야 합니다. 반대로, 보손 솔리톤의 유효 페르미온화를 노린다면 스핀-통계 변환 메커니즘(예: 결맞음 위상, Chern–Simons류, 바운드상태)과 이상(anomaly) 일치성 점검이 필요합니다.
F.1 재매개 불변 격자 Dirac(권장, Wilson 옵션 포함)
페르미온 \(\psi_i\)가 \(U(1)\) 전하 \(q\), \(SU(2)\) 기본표현, \(SU(3)\) 기본표현을 갖는다고 할 때 링크 병렬이동자는
자율형(\(\phi\)-재매개 불변) Dirac형 라그랑지안은
마지막 \(r\)-항은 Wilson term으로 lattice doubling 억제에 사용됩니다(대안으로 staggered/Kogut–Susskind 가능). 재매개 변환 \(\phi\to f(\phi),\; E\to E\,\tfrac{d\phi}{df}\) 하에서 첫 번째 항 \(\int d\phi\,\tfrac{i}{E}\bar\psi\partial_\phi\psi\)는 불변입니다.
F.2 물질–회전자 유카와 결합(선택)
\(q_i\)가 효과적 힉스 역할을 하도록 다음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psi_i\)는 SU(2) 이중항이고, \(q_i\in SU(2)\) 군원입니다. 국소 변환 \(g_i\) 하에서 불변입니다.
'Research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v1.3] 아인슈타인 방정식 유도와 우주상수 (4) | 2025.08.07 |
---|---|
[v1.3] 로렌츠 대칭성의 장파장(IR) 유효 복원 (4) | 2025.08.07 |
[v1.3] 플라켓 결합형태 (0) | 2025.08.02 |
[v1.2] Qaether이론과 격자게이지이론과의 구조적 동치성 증명 (6) | 2025.07.20 |
[v1.2 -> v1.4] 우주상수 문제 제기와 해결 아이디어 (0) | 202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