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CHARGE
- su(3)
- 입자
- 가정
- Lorentz
- color
- assumption
- 아인슈타인
- 케이서
- aether
- 격자
- Space
- gauge
- 업쿼크
- QUANTUM
- symmetry
- Gravity
- Bonding
- 시간
- SPIN
- 색전하
- 게이지
- Einstein
- Axiom
- FCC
- qaether
- particle
- lattice
- void
- Physics
Archives
- Today
- Total
The Qaether Log
[v1.0] Spinor Structure (스피너구조) 본문
- 스피너릿 (◇, \(\ell_s\)) - 잠재적 렙톤 루프
- 구성: 기본플라켓 ℓ₄ (F₁→Q₁→F₂→Q₂→F₁)를Q₁–Q₂ 축을 기준으로 90° 비평면 회전(플라켓 접기)
- 위상 폐합식(일반형) $$\sum_{(a\,b)\in\ell_s} \Delta\phi_{a b} \;=\; 2\pi\,n_{◇}, \quad n_{◇}\in\{\, -1,\,0,\,+1 \,\} = \Phi_{\rm loop} $$
- \(n_{◇}\)를 스피너릿 지수라 부른다.
- 전체 위상 홀로노미: 비평면 접힘(½)과 중성 보정을 합침$$\Phi_{\rm total} = \tfrac12\Phi_{\rm loop}+\pi(1-n _{◇} ^2) = \pi\,(- n_{◇}^2+n_{◇}+1)$$
- SU(2) 홀로노미:\[
S(2\pi)\colon
\Psi(n_{◇})\mapsto e^{i\Phi_{\rm total}}\,\Psi
=-\Psi
\quad(\forall\,n_{◇}\in\{-1,0,+1\}).
\] - \(n_{◇}\)별 입자 구분
- \(n_{◇}=+1:\;\text{양전자계열}\) - 어떤 위상차에도 0에 없는 구조
- \(n_{◇}=-1:\;\text{전자계열}\) - 어떤 위상차에도 0에 없는 구조
- \(n_{◇}=0:\;\text{중성미자계열}\) - 두 개의 위상차는 0, 두개의 위상차는 \(\pm\pi\)를 갖는 형태로 \(\pi\)는 \(-\pi\)와 같은 위상을 가지고 있어 사실상 구분이 불가하다. 따라서 0이라고 놓고 구분하기는 하지만 \(n_{◇}=\pm1\)의 형태도 가능.
- 스피너릿의 복합 입체 결합 예제 (잠재적 쿼크 루프)
- 확장사면체
글루온 1개 + 스피너릿 3개 - 더블 확장사면체
확장사면체 2개 - Half Cover
- 확장사면체
'Research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v1.0] Pattern of 8 Gluon States (0) | 2025.06.15 |
---|---|
[v1.0] 결합 기준 입자 예제 (0) | 2025.06.14 |
[v0.9] Dynamic equation --> Phase–path integral (1) | 2025.06.08 |
[v0.9] 시간에 따른 위상의 변화가 인과율을 보존하는지 여부 (0) | 2025.06.07 |
[v0.9] 격자 게이지 이론 유도 (0) | 2025.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