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Research Diary (56)
The Qaether Log

=> OpenAI에게 다음과 같이 물었다. "크기가 똑같은 공을 어떤 아주 큰 박스안에 넣었다고 할 경우에 밀도가 충분히 높은 상태라면 외부 섭동에 따라서 결정화된다고 말할 수 있나?" 답변:정리: "동일한 크기의 공을 큰 박스에 넣었을 때"1. 조건입자: 크기가 동일한 구형 입자 (hard spheres)박스: 매우 크고 경계효과가 무시될 수 있음 (열역학적 극한 가정)밀도: 충분히 높음 (packing fraction φ ≳ 0.545)섭동: 외부에서 일정한 에너지 또는 진동 등, 입자들이 재배열할 수 있을 정도의 에너지 제공2. 결과시스템이 외부 섭동을 통해 **에너지 장애(barrier)**를 넘을 수 있다면,입자들은 엔트로피적으로 유리한 배열인 **결정 구조 (FCC 또는 HCP)**로 자발적..

Qaether 모델에서 진동항은 스핀항에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란 의구심이 발생함.결합의 의해 생기는 진동은 일종의 섭동일테고 Qaether 자체의 기저 진동이 왜 필요한지 의심이 생기기 시작함.차라리 모터가 진동을 만든것처럼 스핀이 진동을 만드는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고 이를 전파하는 형태가 가장 맞을 것 같다.세상은 최소 파장 \(l_p\)이 있으며 이보다 덜 짧은 파장은 관측할 수 없기 때문에 마치 스핀이 1인 것처럼 보여지는건 아닐까? 마치 어렸을적 책 한켠에 연필로 그림을 그리고 순서대로 빠르게 넘기면 마치 움직이는 것처럼 보였던 그 모습처럼.즉, Qaether는 가장 작은 공간인데 이게 스핀 진동과 자체 진동을 따라 가질까? 이 부분은 고민중이다. Qaether에 진동 부분에 대해 자신이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