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양밀스
- 케이서
- symmetry
- aether
- 가정
- su(3)
- Lorentz
- 라그랑지안
- CHARGE
- color
- Axiom
- 플라켓
- 입자
- 격자
- Bonding
- qcd
- gauge
- Physics
- void
- lattice
- 색전하
- qaether
- 로렌츠
- assumption
- FCC
- SPIN
- Gravity
- 아인슈타인
- 로렌츠대칭
- QUANTUM
Archives
- Today
- Total
The Qaether Log
격자 진동의 양자화: 포논 이론 본문
포논(phonon) 이론은 고체 내 원자들의 집단적인 진동 모드를 양자역학적으로 기술하는 이론입니다.
즉, 고체를 구성하는 원자들이 규칙적인 격자(lattice) 위에서 열적·양자적 요동을 할 때, 그 집단 진동을 하나의 입자처럼 다루는 개념이죠.
1. 기본 개념
- 고체 내 원자들은 평형 위치를 중심으로 진동함.
- 이 진동은 파동 형태로 격자를 따라 전파됨.
- 파동을 양자화하면, 진동 에너지의 최소 단위가 포논이라는 준입자(quasi-particle)가 됨.
- 포논은 보손(Bose-Einstein 통계 따름)이며, 광자와 유사하게 파동과 입자 이중성을 가짐.
2. 고전적 출발점
- 격자 진동의 고전 모델
- 원자를 질량 m인 입자, 결합을 스프링 상수 K인 용수철로 모델링.
- 1차원 단원자 체인:$$m \frac{d^2 u_n}{dt^2} = K (u_{n+1} - u_n) + K (u_{n-1} - u_n)$$
- 여기서 \(u_n(t)\)은 \(n\)번째 원자의 변위.
- 파동 해
- 해를 평면파 형태로 가정:\(u_n(t) \propto e^{i(kna - \omega t)}\) 여기서 \(a\)는 격자 상수, \(k\)는 파수, \(\omega\)는 각진동수.
- 분산 관계: $$\omega(k) = 2 \sqrt{\frac{K}{m}} \left|\sin\left(\frac{ka}{2}\right)\right|$$
- 이로부터 음향(acoustic) 모드와, 경우에 따라 광학(optical) 모드가 구분됨.
3. 양자화
- 진동 모드 하나하나를 조화진동자로 보고, 이를 양자화: $$H = \sum_k \hbar \omega_k \left( a_k^\dagger a_k + \frac12 \right)$$
- \(a_k^\dagger\): 모드 \(k\)에 포논을 생성하는 연산자
\(a_k\): 모드 \(k\)에서 포논을 소멸시키는 연산자 - 포논의 에너지:\(E_k = \hbar \omega_k\)
- 포논 수가 곧 해당 모드의 진동 에너지 양.
4. 포논의 종류
- 음향 포논 (Acoustic phonon)
- \(k \to 0\)에서 \(\omega \propto k\) 관계 (음속에 해당).
- 격자의 집단 변위가 거의 동일하게 이동하는 모드.
- 열전도·탄성파 전달에 관여.
- 광학 포논 (Optical phonon)
- \(\omega(k\to 0) \neq 0\)인 모드.
- 주기적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동하는 두 종류 이상의 원자가 있을 때 나타남.
- 적외선(IR)·라만(Raman) 분광에 응답.
5. 물리적 의미와 응용
- 열전도: 포논은 고체에서 열을 운반하는 주된 매개체. (전자도 운반에 기여하지만 금속 외에는 포논이 주도적)
- 전기저항: 금속에서는 전자가 포논과 산란되어 저항 발생.
- 광학 응답: IR·라만 분광에서 포논 모드가 흡수선·산란선으로 나타남.
- 초전도: BCS 이론에서 전자-포논 상호작용이 쿠퍼쌍 형성에 기여.
6. 핵심 요약
- 포논 = 격자 진동의 양자
- 보손, 에너지 \(\hbar\omega_k\)
- 열·소리·전기전도 등 다양한 고체 물리 현상에 핵심적 역할
- 이론적 기초: 격자 진동의 고전 해 → 파동 모드 분해 → 양자화
'Existing Theor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격자 게이지 이론이란 (10) | 2025.08.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