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격자 게이지 이론이란

Qaether Theory 2025. 8. 7. 19:24

Qaether 이론은 실제 격자게이지 이론과 비슷한 부분이 많아 간단히 언급하고 가도록 하겠다.

1. 개요

  • 목적: 연속적인 시공간에서 정의되는 게이지 이론(예: 양자색역학 QCD)을 유한한 격자 위에 이산화함으로써 비섭동(non-perturbative) 해석과 수치적 계산(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등)을 가능하게 함.
  • 역사: 1974년 K. Wilson이 제안. 격자 위에 게이지 장을 정의하고, Wilson 작용을 도입하여 컨피먼트(confinement) 문제를 비섭동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 함.

 

2. 격자와 링크 변수

  1. 격자
    • d차원 정사각/정육면체 격자(lattice) 위의 정점(site) 집합 \(\{n\}\).
    • 격자 간격을 \(a\)라 놓고, 연속극한에서는 \(a\to0\).
  2. 링크 변수 (Link variable)
    • 각 인접 정점 \(n\)과 \(n+\hat\mu\)를 잇는 간선(link)에 군 원소 \(U_{n,\mu}\in G\)를 부여.
    • 보통 \(G=U(1),\,SU(N)\).
    • 게이지 불변 변환: $$U_{n,\mu}\;\longrightarrow\; \Omega_n\,U_{n,\mu}\,\Omega_{n+\hat\mu}^{-1}, \quad \Omega_n\in G$$

 

3. Wilson 작용 (Wilson action)

  • 최소 폐회로(plaquette) \(\Box_{n,\mu\nu}\)에서의 홀로노미 $$U_{\Box} = U_{n,\mu}\;U_{n+\hat\mu,\nu}\;U_{n+\hat\nu,\mu}^{-1}\;U_{n,\nu}^{-1} \;\in G$$
  • 순수 게이지장 작용: $$S_W = -\frac{\beta}{N}\sum_{n}\sum_{\mu<\nu} \Re\operatorname{Tr}\;U_{\Box_{n,\mu\nu}}, \qquad \beta=\frac{2N}{g^2}\ \ (\text{SU}(N)\text{의 경우})$$ 이는 연속극한 \(a\to0\)에서 $$\Re\operatorname{Tr}\,U_\Box \approx \operatorname{Tr}\bigl(1 - \tfrac{a^4}{2}F_{\mu\nu}^2\bigr)$$로 확장되어 전통적 Yang–Mills 작용 \(\propto\int d^dx\,\operatorname{Tr}\,F_{\mu\nu}^2\)를 복원함.

 

4. 경로적분과 수치해석

  • 격자 경로적분: 장의 자유도는 모든 링크 변수 \(U_{n,\mu}\). $$Z = \int \Bigl[\prod_{n,\mu}dU_{n,\mu}\Bigr]\, e^{-S_W[U]}\,$$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중요도 표본추출(importance sampling)으로 \(Z\)와 관측값(예: Wilson loop)의 기대값 계산.

 

5. Wilson loop과 컨피먼트

  • 폐곡선 \(C\)를 따라 곱한 홀로노미 $$W(C) = \operatorname{Tr}\prod_{(n,\mu)\in C} U_{n,\mu}$$
  • 영역 법칙(area law) $$\langle W(C)\rangle \sim e^{-\sigma\,\mathrm{Area}(C)}$$꼴이면 색전하 간 선형 퍼텐셜 \(V(R)\sim\sigma R\)를 의미하며, 컨피먼트의 비섭동적 지표가 됨.

 

6. 연속극한과 재규격화

  1. 무차원화: 격자 간격 \(a\)를 단위로 물리량을 재규격화.
  2. 임계점 접근: \(\beta\to\beta_c\) (또는 \(g\to0\))에서 유효 격자 간격 \(a\to0\), 물리적 상관 길이 \(\xi\gg a\) 성립.
  3. 재규격화 군 흐름을 통해 연속 이론의 상수 \(g(\mu)\) 등을 예측.

 

7. 응용 및 확장

  • 가교 양자색역학(QCD): 쿼크를 페르미온 필드로 도입하여 하드론 스펙트럼, 상전이 등을 계산.
  • 유효 이론: 격자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전자기, 핵력, 물질 상전이 등의 비섭동적 현상 연구.
  • 현대 개발: 개선된 작용(improved action), 동역학적 쿼크 동원(HMC), GPU 가속 등.

 

정리

격자 게이지 이론은 게이지 장의 비섭동적 현상을 수치적으로 다루기 위한 강력한 틀입니다.

  • 링크 변수플라켓 작용을 통해 게이지 불변성을 유지하고,
  • Wilson loop로 컨피먼트를 판별하며,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으로 실험적 예측을 제공합니다.

연속극한에서 전통적 연속 이론과 일치하며, 현재 비정준적 QCD, 상전이, 물질계 모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